반응형
세계 6대 마라톤(보스턴, 런던, 베를린, 시카고, 뉴욕, 도쿄)은
전 세계 수만 명의 러너가 참가하는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입니다.
하지만 이 거대한 무대를 완성하는 데는 러너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곳에서
대회를 지탱하는 수천 명의 자원봉사자들의 손길이 함께합니다.
마라톤을 꿈꾸는 누군가에게, 또는 그 열기를 가까이서 경험해보고 싶은 사람에게
자원봉사는 또 하나의 마라톤 입문이 될 수 있습니다.
도시 전체가 하나의 코스로 변하는 그날, 우리는 러너 옆에서 함께 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세계 6대 마라톤의 자원봉사 활동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 한국인으로서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도 안내해드립니다.
1. 🏅 공통 특징
- 모두 비영리 기반: 대회 운영 대부분을 자원봉사로 유지
- 봉사자의 역할: 참가자 등록 지원, 급수대 운영, 물품 배부, 코스 안내, 피니시 라인 정리 등
- 공식 티셔츠·스웩 제공: 각 도시 로고가 들어간 전용 유니폼 + 기념품
- 증명서 발급: 활동 확인서, 학교나 기업의 봉사시간으로 활용 가능
- 선착순 마감: 인기 대회일수록 조기 마감
🌐 대회별 자원봉사 신청 방법 및 특징
1. 🟦 보스턴 마라톤 (Boston Marathon)
- 운영 주체: B.A.A (Boston Athletic Association)
- 자원봉사자 수: 약 10,000명 이상
- 신청 시기: 보통 전년도 11~12월
- 사이트: www.baa.org/volunteer
- 특징: 참가자와 자원봉사자가 1:5 비율로 운영될 만큼 비중이 큼
2. 🟩 런던 마라톤 (London Marathon)
- 운영 주체: London Marathon Events
- 자원봉사 명칭: 런던 마라톤 메이커스(London Marathon Makers)
- 신청 시기: 보통 1~2월
- 사이트: www.tcslondonmarathon.com/volunteers
- 특징: 국제 자원봉사자도 신청 가능, 대회 후 감사장 제공
3. 🟥 베를린 마라톤 (Berlin Marathon)
- 운영 주체: SCC Events
- 자원봉사자 수: 약 7,000명
- 신청 시기: 5~6월
- 사이트: www.bmw-berlin-marathon.com
- 특징: 급수대, 메달 배부 등 실전 운영 위주. 독일어 가능자 우대
4. 🟧 시카고 마라톤 (Chicago Marathon)
- 운영 주체: Bank of America
- 신청 시기: 매년 6~7월경 오픈
- 사이트: www.chicagomarathon.com/get-involved/volunteer
- 특징: 개인 봉사와 단체 봉사 신청 구분, 인증서 발급
5. 🟥 뉴욕 마라톤 (New York City Marathon)
- 운영 주체: New York Road Runners (NYRR)
- 자원봉사자 수: 약 12,000명 이상
- 신청 시기: 보통 7~8월
- 사이트: www.nyrr.org
- 특징: 봉사 포인트 제도로 NYRR 주관 대회 참가권 우선 제공
6. 🟨 도쿄 마라톤 (Tokyo Marathon)
- 운영 주체: Tokyo Marathon Foundation
- 자원봉사자 수: 약 10,000명
- 신청 시기: 보통 10~11월 (일본인 우선)
- 사이트: www.marathon.tokyo
- 특징: 일본 시민 대상 우선, 외국인 신청도 일부 가능
💡 자원봉사 꿀팁
- 외국인은 여권·비자 확인 필수
- 기초 회화 능력 (영어 또는 현지어)이 있으면 현장 소통이 원활
- 인기 구역은 빨리 마감되므로 조기 신청 권장
- 단체 신청 가능: 대학, 러닝크루, 교포 커뮤니티 등
- 경험이 쌓이면 차기 년도에 우선 신청 기회 제공되기도 함
🌏 해외 마라톤 자원봉사, 한국인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해외에서 열리는 세계 6대 마라톤은 국적에 상관없이 누구나 자원봉사자로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구조입니다.
다만, 언어와 절차, 일정상 몇 가지 유의해야 할 부분이 있어요.
✅ 신청 절차 요약
- 대회 공식 홈페이지 접속
- 각 마라톤마다 전용 Volunteer 신청 포털 운영
- 예: Chicago → www.chicagomarathon.com → Volunteer 메뉴
- 계정 생성 또는 로그인
- 이메일 인증 및 프로필 정보 입력 (주소, 생년월일 등)
- 희망하는 역할/구역 선택
- 워터스테이션, 메달 배부, 안내, 등록 데스크 등
- 일자별/시간별 셰도울도 함께 설정
- 약관 동의 및 제출
- 봉사 가이드라인, 복장 규정, 건강 서약 등 동의 후 최종 제출
- 확정 메일 수신
- 확정된 경우 수 주 내로 봉사 스케줄 및 현장 교육 자료 도착
- 현지 출국 및 체크인
- 대회 전날 또는 당일 현장 등록소에서 이름 확인 및 유니폼 수령
🗣 영어로 신청할 때 유용한 표현
해외 마라톤 자원봉사 신청 시 아래 표현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상황 표현 | 예시 |
역할 선택 시 | “I would like to volunteer for the hydration station on race day.” |
시간 요청 시 | “I am available on Sunday morning from 7am to 1pm.” |
봉사 경험 소개 | “I have previous experience volunteering at Seoul Marathon.” |
유니폼 사이즈 입력 | “My t-shirt size is M (medium).” |
문의 메일 작성 | “Could you please confirm if my volunteer application has been accepted?” |
✔ 현장에서는 간단한 영어 인사와 응원 문구 (ex. "You’re almost there!", "Looking strong!") 정도로도 충분히 소통 가능합니다.
🏁 마무리: 함께 만드는 마라톤
6대 마라톤의 감동은 달리는 사람만이 아니라, 함께 응원하고 도와주는 수많은 자원봉사자들의 헌신에서 비롯됩니다.
러너가 아니어도 마라톤에 함께 참여하고 싶다면, 자원봉사는 가장 따뜻하고 의미 있는 시작점입니다.
다음 마라톤, ‘러너 옆에서 함께 뛰는 사람’이 되어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