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러닝22

6대 마라톤 자원봉사 활동 가이드 세계 6대 마라톤(보스턴, 런던, 베를린, 시카고, 뉴욕, 도쿄)은전 세계 수만 명의 러너가 참가하는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입니다.하지만 이 거대한 무대를 완성하는 데는 러너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곳에서대회를 지탱하는 수천 명의 자원봉사자들의 손길이 함께합니다.마라톤을 꿈꾸는 누군가에게, 또는 그 열기를 가까이서 경험해보고 싶은 사람에게자원봉사는 또 하나의 마라톤 입문이 될 수 있습니다.도시 전체가 하나의 코스로 변하는 그날, 우리는 러너 옆에서 함께 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세계 6대 마라톤의 자원봉사 활동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 한국인으로서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도 안내해드립니다. 1. 🏅 공통 특징모두 비영리 기반: 대회 운영 대부분을 자원봉사로 유지봉사자의 역할: 참가자 등록 지원, .. 2025. 5. 20.
러닝 중 부상이 왔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러닝은 비교적 접근이 쉬운 유산소 운동이지만, 반복적이고 충격이 동반되는 특성상 부상의 위험이 항상 존재합니다. 특히 훈련량을 급격히 늘리거나 잘못된 자세, 신체 회복 부족 등이 원인이 되어 다양한 형태의 부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러닝 중 흔히 발생하는 부상 유형과 초기 대응 방법, 회복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를 소개합니다.1. 러너에게 자주 발생하는 부상 종류무릎 통증 (러너스 니): 장거리 달리기 시 무릎 외측 통증. 허벅지 근육 약화, 무릎 정렬 문제 등과 연관정강이 통증 (정강이뼈 피로 증후군): 과사용으로 인한 정강이뼈 주변 통증. 초기엔 걷는 것조차 불편발목 염좌: 착지 불안정, 울퉁불퉁한 지면에서 흔히 발생아킬레스건 통증: 종아리 근육의 유연성 부족, 과도한 언덕 훈련이 원인.. 2025. 5. 19.
가민 워치 러닝 화면 셋팅 가이드: 목적별 설정으로 러닝 효율 높이기 가민 워치는 단순히 러닝 기록을 남기는 기기가 아니라, 러닝 전략을 세우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코치’입니다. 특히 화면에 어떤 정보를 띄워놓느냐에 따라 실시간 피드백과 집중도, 훈련 성과가 달라집니다. 이 글에서는 목적에 따라 추천하는 가민 러닝 화면 셋팅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1. 기본 조깅용 화면 구성목적: 거리 측정, 리듬 유지, 심박수 확인 등 기초적인 기록화면 1 (4분할)총 거리러닝 시간현재 페이스현재 심박수화면 2 (2분할)평균 페이스케이던스 (1분당 발걸음 수)🔍 활용 팁: 이 설정은 러닝 초보자나 가볍게 조깅하는 러너에게 유용합니다. 화면을 최소화하고 ‘페이스 감각’을 익히는 데 집중할 수 있습니다.2. 기록 향상 목표용 셋팅 (템포런, 마라톤 훈련)목적: 목표 페이스 유지,.. 2025. 5. 18.
WMM(World Marathon Majors)란 무엇인가? 러닝을 즐기는 이들에게 있어, 'WMM'이라는 이름은 단순한 마라톤 대회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WMM, 즉 World Marathon Majors는 전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고 역사적인 마라톤 대회 7개를 묶은 시리즈입니다. 참가하는 것만으로도 전 세계 러너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기분을 느낄 수 있으며, 이 모든 대회를 완주하는 것은 평생의 도전 과제로 여겨지곤 합니다.1. WMM의 탄생과 배경WMM은 2006년에 처음 출범하였으며, 당시에는 보스턴, 런던, 베를린, 시카고, 뉴욕의 5개 대회로 시작했습니다. 이후 2013년 도쿄 마라톤이 정식 편입되면서 '6대 마라톤 시대'가 열렸고, 2025년부터는 시드니 마라톤이 합류하며 WMM은 7개의 대회로 확장됩니다.https://www.worldmara.. 2025. 5. 15.
러닝 데이터를 개선하는 방법: 실전 훈련 팁과 피드백 루틴 러닝 워치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해도, 이를 어떻게 향상시킬지에 대한 전략이 없다면 성장은 정체되기 마련입니다. 페이스, 케이던스, 보폭, 심박수 등 주요 지표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그리고 어떤 훈련 방식이 효과적인지 소개합니다.1. 페이스 향상을 위한 훈련 전략주 1회 템포런: 목표 페이스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20~30분 지속 달리기주 1회 인터벌: 예) 400m x 6~8회 + 회복 조깅페이스런: 마라톤이나 10K 목표 페이스에 맞춰 일정 거리 달리기실전 팁: 워치에 목표 페이스를 설정하고 벗어날 때 진동 알림을 설정하면 감각을 익히는 데 효과적입니다.2. 케이던스를 높이는 리듬 훈련리듬 음악 활용: 170~180bpm의 러닝 음악과 함께 달리기짧고 빠른 보폭 의식하기: 보폭보다 발걸음.. 2025. 5. 14.
러닝 지표 완전 정복: 가민 기준으로 이해하는 핵심 용어와 해석법 러닝을 꾸준히 하다 보면 단순히 몇 km를 달렸는지, 몇 분에 완주했는지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워치를 활용해 러닝 데이터를 기록하는 러너라면, 다양한 지표들이 제공되지만 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활용이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민(Garmin) 러닝 워치를 기준으로 가장 자주 등장하는 러닝 지표들을 정리하고, 각각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실전 훈련이나 분석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1. 페이스 (Pace)페이스는 1km를 몇 분 몇 초에 주파했는지를 나타내는 기본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5:30/km는 1km당 5분 30초가 걸렸다는 뜻입니다. 자신의 러닝 스타일과 목표 거리에 따라 적정 페이스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일정한.. 2025. 5. 14.